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꿈을 이뤄가는 세상을 위해

나는 개꿈을 잘 꾼다. 불안 공포에 시달리는 악몽도 더러 꾼다. 대부분이 비상식적인 난센스여서 별 의미를 두지 않는다. 꿈속에서의 대화는 거의 없는 편이고 깨어나자 금방 잊어버리고 만다. 이 글에서의 ‘꿈’은 완전한 상태를 함축하는 ‘이상’과는 괴리 개념임을 먼저 밝히고 넘어 가고자 한다.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꿈은 주로 얕은 잠의 형태인 렘(REM) 수면 시간대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정신분석학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꿈을 무의식의 통로라고 했는데 이 같은 그의 주장이 또 다른 대가인 카를 융과는 어떻게 다른지, 전문가가 아닌 필자는 잘 모른다. 그저 꿈은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이해할 뿐이다.     ‘인생은 일장춘몽’이라는 은유적 표현을 많이 쓴다. 의식 세계인 현실을 무의식 세계인 꿈에 결부시키는 말이다. ‘한 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이라는 희곡에서 셰익스피어도 인생을 한순간의 꿈과 비유했다. 꿈과 현실을 구분하는 나의 기준은 단세포적이다. 눈을 감고 자는 동안에 경험하는 현상은 꿈이고, 눈을 뜨고 깨어 있는 동안에 삶의 현장에서 구체적 사실로 경험하는 일은 현실이다. 현실의 일인데도, 사실이 아니었으면 싶을 때가 있다. 차라리 꿈속의 일로 흘려보낼 수 있었으면 하고.   현실에서의 인종 차별, 성 차별, 종교 갈등 등의 이면에는 배타심, 혐오감 등이 구조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날로 심화되는 부의 편재에 따른 양극화 현상은 사회의 암적 존재로 발전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지켜보면서 인류는 새삼 값진 교훈을 얻는다. 거미줄처럼 얽혀 사는 이 세상에서 홀로만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는 일이다. 주요 제약 회사는 백신을 부자 나라에 집중 공급함으로써 많은 이윤을 얻었다고 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환경 변화로부터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 또한 모든 지구인의 공동 책임이다. 지난달 12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폐막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COP26)의 귀추에 주목하게 된다.     한국 신문에서 대장동 부동산 개발 비리에 관한 기사를 많이 본다. 공익사업이라는 미명하에 강제 수용을 이용한 부정한 불로소득이 개발업자와 연고자의 몫으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한 예로 872만원을 투자하여 101억원을 거둔 사례에서 극심한 불공정을 본다. 한국문화의 소프트웨어가 세계를 흥분시키는 이면에는 계층 간 갈등과 불공평이 만연한 한국사회의 어두운 현실이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나 영화 ‘기생충’ 등의 문화 콘텐츠에 그것이 잘 그려지고 있다. 죽기 아니면 살기 식 ‘데스 게임(Death Game)’으로 불리는 이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유한 사회의 냉엄한 현실은 20대 청년 10만 명 중 16.4명이 자살로 삶을 마감한다는 어두운 통계가 대변해 준다.     곧 임인년 새해를 맞는다. 지나간 언짢은 기억일랑은 모두 묵은 해와 함께 털어버리자. 새해에는 신나는 일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소박한 소망이, 꿈이 아닌 현실에서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라만섭 / 전 회계사기고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의식 세계인 차별 종교

2021-12-30

[커뮤니티 광장] 기후변화 문제, 먼 나라 일이 아니다

최근 미국 기후가 더 극단적으로 변하고 있다. 지난 가을에는 테네시주와 앨라배마주에 기습폭우로 홍수가 발생해 20여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지난 8월에는 뉴욕에 허리케인 헨리가 불어닥쳐 한인 등 아시안의 피해가 컸다. 반면 산불 피해를 겪은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서부 대부분은 지난 6월부터 몇달째 20년 만의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으며 서울 면적의 4.7배가 산불로 사라졌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 같은 극단적 기후가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영국 글래스고(Glasgow)에서 지난달 막을 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The 26th UN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COP26)는 세계기후변화의 현황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다.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석탄 사용의 단계적 감축 등을 포함해 기후 위기를 막게 위한 대책에 합의했다.     COP26 참가 후 귀국한 라몬 크루즈 디아즈(Ramon Cruz Diaz) 시에라 클럽(Sierra Club) 의장은 “이번 협약은 온실가스 배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온 화석 연료인 석탄의 감축을 명시한 최초의 기후협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특히 영국은 석탄사용을 앞으로 감축하겠다고 했으나, 중국과 인도의 미온적 입장은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상당수 개발도상국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선진국의 기후오염에 따른 것이므로 선진국에 보상책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며 “이들의 요청을 수용할 새로운 재정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연방하원은 최근 통과시킨 ‘빌드 백 배터’ (Build Back Better bill) 법안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절반으로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해 555억달러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했다.     비영리단체 위액트(WE ACT for Environmental Justice)의 다나 존슨(Dana Johnson) 디렉터는 “조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변화협약을 지키기 위해 손해를 감수하고 있으며, 석탄과 온실가스 감축을 재차 다짐했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석탄연료 감소 및 그린 에너지 산업 육성 방침은 이곳 조지아주와 애틀랜타 한인사회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조지아주에 진출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공장을 비롯해 다양한 전기차 공장과 산업이 조지아주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SK 조지아 공장은 이미 테네시주 차타누가 폭스바겐 공장, 미시간주 로손빌의 포드 자동차 공장과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는 데 합의했다.   최근 필자와 만난 존 오소프 조지아주 연방상원의원도 SK를 비롯한 배터리와 전기차 산업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AJC에 따르면 조지아주에 전기차 관련 잘 교육받고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살게되면 전세계의 다양한 산업이 진출하고 조지아주의 보수 성향이 바뀔수 있다고 민주당은 기대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남의 일이 아니다. 가깝게는 오늘날 날씨부터 시작해 멀게는 조지아주와 한인타운 산업지형까지 바꿀수 있는 일이다. 기후변화와 녹색에너지에 대해 우리 한인들도 주목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커뮤니티 광장 기후변화 문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온실가스 감축 온실가스 배출

2021-1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